세계 시총 1위 기업 엔비디아가 또다시 사상 최고 실적을 갈아치우며 최근 제기된 AI거품론을 잠재웠다.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19일(현지시간) 자체 회계연도 3분기(8∼10월) 매출액이 570억1000만달러, 한화 83조4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같은 호실적은 지난해 3분기 매출보다 62% 증가한 것으로, 사상 최대치로 투자업계 시장전망치를 훨씬 웃도는 실적을 연이어 기록함에 따라 AI거품론은 다소 수그러질 전망이다.
이에 앞서 시장조사업체 LSEG는 엔비디아의 3분기 매출로 549억2000만달러(약 80조1000억원)를 전망했고 투자업계는 과도한 AI거품론으로 엔비디아 실적이 서서히 꺽일 것이란 예측을 일부 내놓기도 했다.
엔비디아 전체 매출 중 90%는 데이터센터 부문이 차지했고,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66% 늘어나 512억달러(약 74조7000억원)를 기록,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다.
게임 부문 매출은 43억달러(약 6조3000억원)를 기록,지난해 3분기대비 30% 늘어났지만, 지난 분기(2분기)에 비해서는 1% 감소했다. 전문가용 시각화 부문 매출은 7억6000만달러(약 1조1000억원), 자동차·로봇공학 부문 매출은 5억9000만달러(약 8600억원)를 기록했다.
주당 순이익(EPS)은 1.3달러로, 이 역시 시장전망치 1.25달러를 웃돌아 나스닥 상승세를 견인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올해 4분기(11월∼내년 1월)에도 성장세를 이어가, 650억달러(약 94조9000억원)의 매출이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엔비디어 사상 최고 실적치는 최고가 GPU아키텍처인 블랙웰 판매량이 폭증했기 때문이다. 미국 빅테크기업들이 데이터센터 확장에 대대적인 투자에 나서면서 ‘블랙웰’수요가 폭증,품절 상황이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블랙웰 판매량은 차트에 표시할 수 없을 정도로 높고, 클라우드 GPU는 품절 상태”라면서 “우리는 AI의 선순환 구조에 진입했다”며 AI거품론을 일축했다.
엔비디아가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함에 따라 ‘AI 거품론’도 수그러드는 양상이다. 최근 투자업계는 빅테크들의 대규모 투자를 뒷받침하기 위한 회사채 발행 등이 이어지지만 뚜렷한 수익모델이 없다며 AI 거품론을 제기하고 있다.
하지만 엔비디아는 이날 실적발표를 통해 이 같은 우려를 불식시키며 내년도 실적에도 밝은 전망치를 내놓고 있다. 젠슨 황 CEO는 이날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에서 “AI 버블에 대한 이야기가 많지만, 우리 관점에서 보면 전혀 다르게 보인다”면서 “AI수요는 계속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AI 산업의 진정한 확장은 이제 막 시작됐다”고 AI거품론을 일축했다.
젠슨 황 CEO는 “AI 생태계는 급속히 확장 중이며 더 많은 새로운 모델의 개발사와 더 많은 AI 스타트업이 다양한 산업과 국가에서 등장하고 있다”면서 “AI는 모든 곳에 침투해 일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엔비디아 주가는 이날 실적 발표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해 전일 종가대비 2.85% 오른 186.52달러에 마감했으나, 실적 발표 이후 애프터마켓에서 5% 이상 상승해 미 동부시간 기준 오후 5시 5분 현재 196달러선을 기록중이다. 엔비디아는 12월 4일 기준 주주들에게 주당 1센트의 배당금을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AI제국패권전쟁-②]피지컬AI 운영체계 확보가 승부수다](http://www.pitchone.co.kr/wp-content/uploads/2025/10/1-15-119x120.jpg)

![[AI제국패권전쟁-①]AI제국을 꿈꾸는 젠슨황의 야망,한국 피지컬AI 하청국가로 전락할 것인가](http://www.pitchone.co.kr/wp-content/uploads/2025/10/1-12-119x120.jpg)



No comments so far.
Be first to leave comment be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