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대 AI개발착수, “GPU 20만장 확보,10조원 투입” 국대 AI개발착수, “GPU 20만장 확보,10조원 투입”
정부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독자적인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이른바 한국형 AI개발에 나선다. 국가대표급 AI 개발을 위해 GPU 20만장을 확보키로 했다. 정부는 글로벌 최고성능의 한국형 소버린 AI를... 국대 AI개발착수, “GPU 20만장 확보,10조원 투입”

정부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독자적인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이른바 한국형 AI개발에 나선다. 국가대표급 AI 개발을 위해 GPU 20만장을 확보키로 했다.

정부는 글로벌 최고성능의 한국형 소버린 AI를 개발해 착수키로 하고 9일 서울 중구 르메르디앙 서울 명동에서 프로젝트 착수식을 개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배경훈 장관, 박윤규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원장과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 유영상 SK텔레콤 대표, 이연수 NC AI 대표, 임우형 LG AI연구원 원장 등 참여 기업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이런 내용의 소버린 AI 주권 확보를 위한 프로젝트 착수를 선언했다.

정부는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의 목표를 글로벌 최고 성능(SOTA·State-Of-The-Art) 급으로 설정하고 세계 최고수준의 AI모델을 개발한다는 전략이다.

배경훈 장관은 “세계 최고수준의 소버린 AI 모델을 만들어 글로벌로 나아가고 포용적인 AI로 발전해야 한다”면서 “민관협력을 통해 2028년까지 그래픽처리장치(GPU) 5만장, 2030년까지 20만장까지 확보한다는 계획”이라고 밝혔다. GPU 20만장은 대략 10조원의 규모다.

배 장관은 이어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착수식을 하려니 가슴이 뛰는 동시에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면서 “우리나라 많은 개발자가 큐원, 라마 등 해외 모델을 제치고 5개 정예팀의 모델을 쓸 수 있는 날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 정부와 민간기업은 한국형 AI 모델을 공공·경제·사회 등 전 분야 인공지능 전환(AX)에 활용할 방안과 ‘모두의 AI’ 생태계에 기여할 방안도 중점 논의했다.

5개 정예팀은 올해 말 진행되는 1차 단계 평가에서 4곳으로 압축되고 이후 6개월마다 단계적으로 최고의 정예팀을 줄여 최종 1개팀으로 압축된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장애인, 농민 등 모든 국민의 삶, 국가 산업, 학교나 연구를 위해 AI 모델을 어떻게 발전시킬지, 국가대표 AI라는 말에 걸맞은 자격을 갖추기 위해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반드시 우리 데이터, 기술로 성공시키는 기회로 만들겠다”면서 “파운데이션 모델은 미국, 중국만 할 수 있다고도 말하는데 우리 기술로 모델을 만들 수 없다면  AI는 모래성”이라며 주권 AI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연수 NC AI 대표는 “게임·콘텐츠 분야에서 오랜 기간 AI를 해온 역량을 발휘해 K콘텐츠가 주목받는 시점에서 국가에 기여할 기술적 역량을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임우형 LG AI연구원장은 “AI 기술을 확보하지 않으면 대한민국 성장 자체를 고민해야 하는 시기”라며 “쉽지 않은 도전이지만 5개 컨소시엄이 서로 건전한 경쟁을 통해 함께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KT 유영상 대표는 “과거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기술, D램, 포니라는 국산 차를 만들 때 불가능해 보였지만 통신 강국, D램 1위, 자동차 세계 3위가 되는 씨앗을 뿌린 것”이라며 AI 기술에서도 글로벌 1위를 꿈꿔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착수식에서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5대 컨소시엄에 들었음을 증명하는 ‘K-AI 앰블럼’ 수여식을 진행,5개 참여 컨소시엄 기업들이 앰블럼을 회사 홍보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5개 정예팀에 대한 1차 평가는 연말 대국민 평가 및 전문가 검증 결과, AI 안전성과 연계된 성능 지표(벤치마크), 파생 AI 모델 개수 등을 토대로 이뤄질 계획이다.

No comments so far.

Be first to leave comment below.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