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삼성·SK·현대차·네이버에 GPU 26만장 공급선언,AI인프라 미·중이어 3위 발돋움 엔비디아,삼성·SK·현대차·네이버에 GPU 26만장 공급선언,AI인프라 미·중이어 3위 발돋움
엔비디아가 삼성 SK 현대차 네이버 등 4개 기업과 한국 정부에 GPU 총 26만장,최대 34조원규모를 공급키로 했다. 한국에 26만장의 GPU가 공급될 경우, 이는 세계 최대... 엔비디아,삼성·SK·현대차·네이버에 GPU 26만장 공급선언,AI인프라 미·중이어 3위 발돋움

엔비디아가 삼성 SK 현대차 네이버 등 4개 기업과 한국 정부에 GPU 총 26만장,최대 34조원규모를 공급키로 했다.

한국에 26만장의 GPU가 공급될 경우, 이는 세계 최대 데이터센터를 운영중인 GPU 35만장이 투입된 메타 전체 AI인프라의 70% 수준이며 15만장을 구축한 오픈 AI 보다도 많은 수준으로 한국은 단숨에 미,중에 이어 글로벌 세번째로 많은 GPU 기반 AI인프라 파워를 갖춘 AI 빅3 국가로 발돋움하게 된다.

엔비디아 젠슨 황 CEO는 30일 삼성그룹 이재용회장, 현대차 정의선 회장과 강남 삼성동 깐부치킨에서 치맥회동을 하며 한국에 좋은 소식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젠슨 황 CEO는 오늘 공식 발표한다. 대통령실은 오늘 오후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 CEO면담후 내용을 공식 발표할 계획이다.

엔비디아의 이번 26만개 GPU는 최신 ‘GB200 그레이스 블랙웰’로 ‘RTX6000 시리즈’도 일부 혼합해 제공될 것으로 알려졌다.  대략 14조원에 이르는 규모다. 한국 정부는 그동안 국가차원에서 1만장규모의 GPU를 확보하기 위해 외교전에 나설 정도로 GPU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어왔다.

과기정통부와 재계에 따르면 엔비디아 젠슨황 CEO의 이번 GPU공급 계획 발표는 한국 정부가 구축중인 삼성SDS 콘소시엄 주도의 국가AI컴퓨팅센터는 물론 현대차의 로봇,자율주행플랫폼,네이버 AI데이터센터 등에 집중 공급될 것으로 알려졌다.

대규모 물량수출은 미국 정부의 사전승인 사항이기 때문에 이번 젠슨황 CEO의 공급 발표는 미 트럼프정부가 사전 승인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26만장 공급건은 미국 정부가 한국을 미국주도 글로벌 AI인프라 허브(거점국)의 파트너 국가로 인정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의미를 갖고있다.

이에 따라 한국은 공급부족에 시달리는 AI용 GPU시장에서 단일규모로는 가장 많은  26만장을 확보함에 따라 삼성SDS와 삼성전자 컨소시엄이 곧 구축예정인 글로벌수준의 국가AI컴퓨팅센터 설립은 물론 자율주행 플랫폼,현대차의 미래사업인 보스턴다이나믹스의 AI 로봇, 네이버의 초대형 언어모델(NLLM) 인프라확중 등 대한민국의 소버린AI 전략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정부는 우선 네이버와 네이버클라우드,카카오 등 기업데이터센터에 5만개를 제공해 국가 AI인프라 구축에 활용키로 했다.

삼성SDS는 첨단 데이터센터기술을 토대로 이미 오픈AI의 700조원대가 투입되는 스타게이트 AI데이터센터의 설계및 구축 운영분야에 협력하고 있다. 삼성전자 역시 냉장고,세탁기,에어컨 등 모든 가전제품을 AI기반 지능형 제품으로 전환하는 한편, 신약개발은 물론 자회사 레인보우로보틱스를 통해 AI 로봇 상용화를 서두르고 있다. 삼성그룹은 5만개 GPU를 채택하는 AI공장을 건립키로 했다.

SK그룹은 엔비디아의 제조업 AI툴인 옴니버스를 도입해 다양한 제조라인의 AI전환에 나서는 것은 물론 SK그룹 모든 사업부분의 제조라인을 AI로 전환하는 생산라인 AI 스마트팩토리에 집중 나서기로 했다. 현대차 역시 AI기반 자동차 개발은 물론 다양한 모빌리티 솔루션, 제조라인과 AI기반 로봇 등의 상용화에 집중 나설 방침이다.

네이버는 각 나라의 데이터와 AI를 갖춘 소버린 AI 구축에 집중할 계획이다. 네이버는 엔비디아와 협력을 통해 자체적인 AI뿐 아니라 태국과 중동 지역 AI 개발에 나서는 등 AI다양성에 집중키로 했다.

AI 투자업계 관계자는 “GPU 26만장 규모이면 미국기준 대형 AI데이터센터 최소 5개를 세울수 있는 물량”이라며 “전력공급에 대한 정부차원의 대대적인 인프라구축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엔비디아가 메모리의 삼성전자, HBM 시장 80%를 차지하고 있는 SK하이닉스 등의 파트너쉽 등을 기반으로 한국을 AI인프라 허브로 키운다는 전략아래 단순한 납품관계를 떠나 글로벌 AI 생태계를 주도하는 전략적 파트너로 생각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엔비디아측은 “새로운 블랙웰 인프라로 한국의 전체 AI GPU 수량은 기존 6만5000개에서 30만개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며 “이로써 한국은 세계적 수준의 AI리더가 될 토대를 마련하게 됐다”고 밝혔다.

젠슨 황 CEO는 이날 “한국은 가장 많은 AI인프라를 보유한 AI주권 국가가 될 것”이라며 소버린(주권)AI를 주창하고 있는 이재명정부에 힘을 실어주는 발언을 해 주목을 끌었다.

엔비디아가 제공키로 한 26만개 GPU는 최신 ‘GB200 그레이스 블랙웰’로 ‘RTX6000 시리즈’도 일부 혼합해 제공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현대차,네이버 등 수혜기업들의 주가가 연일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코스피 상승장세는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 국내 최초 AI데이터센터,네이버 ‘각 세종’,글로벌 수준 AI인프라 공개

관련기사 = 2조5000억원 국가AI컴퓨팅센터,삼성SDS단독입찰,부지는 해남 솔라시도

관련기사 = 정부 AI광폭행보,삼성·SK·오픈AI,삼각동맹,AI선박·드론,생태계바꿀 게임체인저

관련기사 = 네이버 최수연 대표,UN글로벌콤팩트 신임이사 선임,글로벌 AI거버넌스 구축참여

관련기사 = 이해진 네이버창업자,이사회의장 복귀,“네이버 AI혁신 이끌겠다”

관련기사 = 국대 AI개발착수, “GPU 20만장 확보,10조원 투입”

관련기사 = 네이버,극비프로젝트 AI브라우저 승부수,게임체인저 될까 초미 관심

관련기사 = “AI로 보이스피싱 금융사기 판칠칠 것,영상·음성비번 다뚫려”오픈AI CEO의 경고

관련기사 = 네이버 영상콘텐츠 승부,AI탑재 비전테크 트라앵글 공개,라이브스트리밍앱,글로벌 1위

관련기사 = 정부,5년간 1조원투입 ‘모두의 AI’개발,전국민에 제공,처음부터 헛발질 AI정책 비난봇물

관련기사 = 이재명정부,‘AI파운데이션모델·피지컬AI’대형 국책사업시동,“잘하는 민간기업 더 지원하라”

관련기사 = 최태원 회장 “울산 AI데이터센터,한국 3대 AI강국 주도할 것”

관련기사 = 브로드컴·AMD 퀄 통과한 삼성전자 HBM,AI칩 패권부활 신호탄

 

도시_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