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바이든 행정부때부터 대중국 수출을 제한해 온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칩 H20 판매를 공식 승인했다고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5일 공식 밝혔다.
중국 중앙TV(CCTV)는 황 CEO가 이날 인터뷰에서 “미국 정부가 우리의 수출을 승인해 출하할 수 있게 됐다”면서 “이제 곧 중국 시장에 H20을 판매할 것”이라고 밝혔다고 보도했다. CCTV는 젠슨 황 CEO가 “H20이 빨리 출하할 수 있기를 매우 기대하고 있다”면서 “이는 매우 매우 좋은 소식이다”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엔비디아는 이날 자사 블로그를 통해서도 이같은 대중국 수출승인 내용을 공식화하며 “미국 정부에 H20 판매 재개 허가를 신청, 곧 제품 공급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따라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국 견제를 위해 관세보복과 함께 반도체장비, AI칩 등의 수출규제를 대폭 강화해온 가운데 엔비디아 H20 대중국 수출승인을 해준 배경에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기존 엔비디아 AI칩의 경우 바이든 행정부시절부터 대중국 수출을 규제했는데, H20모델은 엔비디아가 대중국 수출을 염두에 두고 그동안 자사 최신 AI 칩보다 사양을 낮춰 개발한 모델로 중국에 공급해온 저사양 AI칩이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국가안보를 이유로 엔비디아 H20 모델에 대해도 대중국 수출금지 조치에 나서자 엔비디아가 강하게 반발했다. 로이터통신은 RTX 프로의 경우 트럼프 행정부의 수출 규제를 완전히 충족하도록 설계된 중국 전용 GPU라고 보도했다.
황 CEO는 이어 “우리는 ‘RTX 프로’라고 하는 새로운 그래픽카드를 출시하기로 했다”면서 “이 그래픽카드는 컴퓨터 그래픽과 디지털 트윈, AI를 전용으로 설계됐다”고 소개했다.
■ 젠슨황 미 투자약속하자,트럼프 대중국 수출금지 철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지난 4월 15일 AI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 H20 칩의 중국 수출을 제한한바 있다. 전세계를 상대로 관세전쟁을 벌이고 있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AI칩 수출규제에 나서자 중국 기업으로부터 대량 주문을 받아온 엔비디아는 수조 원의 타격을 입게 돼 강하게 반발해왔다.
당시 엔비디아는 미 정부의 수출규제 조치에 대해 H20 칩이 중국의 슈퍼컴퓨터에 사용되거나 전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새 규제의 근거로 들었다고 공개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올해 1월 H20칩을 채택, 지난 1월 저가형 우수 AI 모델을 선보이며 세계적 주목을 받자 지난 4월 수출규제에 나섰다.
H20 칩은 연산 능력이 낮은 저사양 AI칩이지만,고속 메모리 및 기타 칩과의 연결성이 뛰어나 슈퍼컴퓨터를 만드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H30 칩은 미국이 안보를 이유로 최첨단 반도체의 중국 수출을 규제하는 와중에도 그간 중국에 합법적으로 수출할수 있는 최고급 사양 AI 칩이다.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 블랙웰보다 성능은 낮지만, 블랙웰에서 사용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장착,일부 성능이 개선된 칩이다. 실제 알리바바와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 중국 기술 대기업이 올해 1∼3월 H20 칩을 160억 달러(22조8000억원) 이상 주문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하지만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젠슨 황이 지난 4월 트럼프 대통령의 사저가 있는 마러라고 만찬에 참석, 미국 내 AI 데이터 센터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약속한 뒤 대중국 수출규제가 풀린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엔비디아는 지난 4월 14일 미국에서 슈퍼컴퓨터를 생산하는 등 향후 4년간 최대 5000억 달러(약 700조원) 규모의 AI 인프라를 투자하거나 생산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한편 SK하이닉스의 경우 엔비디아에 대한 추가 HBM 공급량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보여 전날 외국기관투자자들이 대거 매수세로 돌아서는 등 곧 장중 30만원대를 돌파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관련기사 = 브로드컴·AMD 퀄 통과한 삼성전자 HBM,AI칩 패권부활 신호탄
관련기사 = 美 마이크론,HBM 12단 품질통과후 대대적인 투자,2위 삼성 바짝 추격
관련기사 = 블룸버그,삼성전자,HBM 엔비디아 테스트통과보도,2분기 납품초읽기
관련기사 = 삼성전자 4분기 영업익 6.6조원대 그쳐,메모리한파,4세대 HBM 양산지연 저조
관련기사 = 로이터 “삼성전자,HBM 엔비디아 테스트통과 못했다”, 삼성 “진행중”강력반발
관련기사 = [위기의 삼성전자-①]D램실적,HBM으로 SK하이닉스에 제압당한 삼성전자,예고된 참사
No comments so far.
Be first to leave comment below.